국내소식

News | 상도선원 선원장 미산 스님<명법문 명강의>...법보신문 10. 2. 17

페이지 정보

작성자관리자 작성일10-02-18 13:28 조회3,562회 댓글0건

본문

오유지족〈吾唯知足〉이 진짜 부자되는 부적


오늘은 입춘입니다. 입춘, 동지, 설, 대보름 등은 우리 민족문화의 중요한 세시풍속 행사입니다. 이런 세시풍속을 불교가 끌어들여 의미를 새롭게 부여했습니다. 때에 맞추어 기도 정진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법회와 연결시켜 입춘 법회를 하고 있습니다. 미풍양속을 소홀히 하지 않고 여기에 맞는 법회를 하는 것이지요.

그런데 자칫 잘못하면 이런 법회의 진정한 의미와 뜻이 왜곡될 수도 있습니다. 정법(正法)을 드러내지 못하고 삿된 쪽으로 갈 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러므로 오늘은 입춘의 불교적 의미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또 삼재팔난을 막는 입춘대길 부적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또 이것을 어떻게 현실화할 수 있는지를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부적 걸어 놓아도 삼재 극복 못해

‘입춘’하면 잘 알려진 것이 입춘부(立春符)입니다. ‘입춘대길(立春大吉)’이나 ‘건양다경(建陽多慶)’이라는 문구를 써서 대문에 붙이는 입춘부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우리도 이 법회 끝나면 입춘 부적을 나누어 가질 것입니다. 몇 년 전, 굴지의 강남 사찰에서 입춘부를 돈 받고 판매한다 하여 언론의 비판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부처님의 정법을 세우려면 정견(正見)부터 세워서 수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칫 잘못하면 요행수를 조작하여 상업성으로 이끌 수가 있으니 말입니다. 이렇게 되면 불교의 본질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니 입춘부도 그 의미를 바로 알고 써야겠습니다.

얼마 전 종무실에서 “상도선원에서도 부적을 주느냐”는 질문 전화를 받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불자들에게 부적의 진정한 의미를 알려드려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오늘 나누어 드리는 입춘부는 가져가시되, 지금 하는 이 법문을 잘 듣는 것이 진짜 부적을 갖고 가는 길입니다. 합장하시고, 경전 말씀을 들어보십시오.

“비구들이여, 배우지 못한 범부는 육체적인 괴로움을 겪게 되면 근심하고 상심하며 슬퍼하고 가슴을 치고 울부짖고 광란한다. 결국 그는 이중으로 느낌을 겪고 있는 것이다. 즉 육체적 느낌과 정신적 느낌이다.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화살에 꿰찔리고 연이어 두 번째 화살에 또 다시 꿰찔리는 것과 같다. 그래서 그 사람은 두 화살 때문에 오는 괴로움을 모두 다 겪을 것이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배우지 못한 범부는 육체적으로 괴로운 느낌을 겪을 때, 근심하고 상심하고 슬퍼하고 가슴을 치고 울부짖고 광란한다.

그래서 이중으로 느낌을 겪는다. 즉 육체적 느낌과 정신적 느낌이다. 비구들이여, 그러니 잘 배운 성스러운 제자는 육체적으로 괴로운 느낌을 겪더라도 근심하지 않고 상심하지 않고 슬퍼하지 않고 가슴을 치지 않고 울부짖지 않고 광란하지 않는다. 그는 오직 한 가지 느낌, 즉 육체적 느낌만을 경험할 뿐이며 결코 정신적인 느낌은 겪지 않는다. 비구들이여, 예를 들면 어떤 사람이 화살에 맞았지만 그 첫 번째 화살에 연이은 두 번째 화살에는 맞지 않은 것과 같다. 그래서 그 사람은 하나의 화살로 인한 괴로움만을 겪을 것이다. 비구들이여, 그와 같이 잘 배운 성스러운 제자는 괴로운 느낌에 접하더라도 결코 근심하지 않고 상심하지 않고 슬퍼하지 않고 가슴을 치지 않고 울부짖지 않고 광란하지 않는다.

그는 오직 한 가지 느낌, 즉 육체적인 느낌만을 경험할 뿐이다. 그는 즐거운 느낌을 경험할 때도 매이지 않고 그것을 느낀다. 괴로운 느낌을 경험할 때도 매이지 않고 그것을 느낀다. 괴롭지도 즐겁지도 않은 느낌을 경험할 때도 매이지 않고 그것을 느낀다. 비구들이여, 이러한 사람을 일러 잘 배운 성스러운 제자라고 하나니, 그는 태어남과 늙음·죽음과 근심·탄식·육체적 고통·정신적 고통·절망에 매여 있지 않으며 그는 괴로움에 매여 있지 않다고 나는 말한다.”

『상윳따니까야』「화살경」의 일부입니다. 어떻게 두 번째 화살을 맞지 않고 살아갈 수 있는지에 관해 고구정녕하게 들려주신 부처님 말씀입니다.
삼재(三災)가 무엇입니까. 풍재, 화재, 수재, 이 세 가지를 대삼재라 합니다. 소삼재는 전쟁, 질병, 굶주림 이렇게 세 가지입니다. 지금은 거의 사라졌지만 먹을 것이 부족한 보릿고개가 있었고, 역병도 많았습니다. 연배가 좀 있는 분들은 다 경험해서 기억하시죠. 대신 지금은 신종플루 등의 질병이 창궐합니다. 이런 재앙들은 왜 생길까요? 어떤 목사님 말대로 악마의 저주인가요?

불교의 입장에서 보면, 이 우주는 중생의 업에 의해 생겨났습니다. 인연이 다하면 파괴되고 공(空)으로 돌아갑니다. 생성-존재-파괴-소멸 즉, 성주괴공(成住壞空)을 겪으며 우주가 변천한다는 것이 불교의 세계관입니다. 생성될 때보다 존속, 파괴될 때 삼재의 현상들이 나타납니다. 자연법칙에 의해 파괴될 수도 있지만, 파괴의 주범은 바로 인간입니다.

그럼 왜 파괴가 시작될까요? 연구를 해보니, 이러한 파괴행위의 원인 중에는 종교의 가르침에서 기인하고 있는 것이 크다고 합니다. 특히 기독교 사상이 범한 오류가 많은 데 기독신학자들은 이를 반박하기 위해 ‘성서를 잘못 해석했다’고 하곤 합니다. 그렇지만 자연계의 모든 생명을 지배할 권한을 인간에게 부여한 것이 성경 속의 하느님이고 보면, 기독교 신학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자연 지배를 당연한 것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리스 철학에도 이와 비슷한 인간 중심의 사유 방식이 있었습니다. 이 두 가지 큰 줄기가 근현대 과학 문명을 낳았고, 인간은 자연을 정복하고 파괴해가며 새로운 문명을 이루었습니다. 그 결과 화석에너지의 남용으로 인한 지구온난화를 야기했습니다. 그러니 이를 극복하려면 에너지 절약을 생활화해야 합니다.

더 나아가 문제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 사고의 틀을 바꿔야 합니다. 환경과 내가 둘이 아니라는 불이(不二) 사상으로 살아야 삼재로부터 벗어나지, 부적을 걸어놓는다 하여 극복될 문제가 아닙니다.

지금은 입적하신 석주 큰스님께서 ‘오유지족’이라는 부적을 써주신 적이 있습니다. ‘오유지족(吾唯知足)’이란 무슨 뜻입니까. ‘나 오(吾)’ ‘오직 유(唯)’ ‘알 지(知)’ ‘족할 족(足)’, ‘나 스스로 오직 만족함을 안다’는 뜻입니다. 이 네 글자 모두 입 구(口) 자가 들어가죠. 그래서 중간에 입 구 자를 하나 놓고 오, 유, 지, 족 네 글자가 좌우상하에 배치되게 써주신 것입니다.

이웃과 나누면 스스로도 행복

이것이 오늘 제가 드리는 첫 번째 부적입니다. 진짜 부자되는 부적입니다. 만족함을 알 때 그것이 부자 아닙니까. 그러면 돈도 벌지 말라는 얘기냐고요? 아닙니다. 노력해서 많이 벌되 모든 사람을 위해 쓰라는 것입니다. 가치 있게 쓸 생각을 하며 돈을 벌라는 것이지요. 잘 쓰는 사람이 진짜 부자입니다. 모든 분이 행복하게 사는 데에 돈을 쓰는 것이 진짜 부자의 삶입니다.

제가 드리는 두 번째 부적은 행복해지는 부적입니다. 제가 자주 하는 이야기인데, 두 번째 화살을 맞지 말라는 말씀입니다. 첫 번째 화살은 어쩔 수 없이 맞는다 하더라도, 두 번째 화살은 그 화살로 인해 정신적 괴로움을 받는 것을 말합니다.
첫 번째 화살을 맞는다 해도 그대로 수용하면 됩니다. 싫어하여 거부하고, 좋아하여 집착하지 않고, 자유로워지려면 전적으로 받아들여야 합니다. 진정한 불교 수행은 전적인 수용으로부터 시작됩니다. 분별심이 발동하여 두 번째 화살을 맞게 되거나 맞을 만한 환경과 조건을 만들게 됩니다.

이 조건을 만들지 않기 위해서는 늘 깨어 있는 마음으로, 마음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일어나는 것을 그대로 보고, 그 세력이 멈출 수 있도록 알아차리는 것입니다. 일어나려 할 때 알아차리면 분노가 약해집니다. 간화선 수행을 하고도 수행 후 점검해보니 화가 더 많이 난다고도 합니다. 그럼 해결책은 무엇일까요? 무의식에 잠재한 오염원들을 흔들어 녹였으나 아직도 구석구석 남은 분심의 번뇌들이 조건을 만나면 나오는 것입니다. 의식이 깊어지고 선명하게 보이는 겁니다. 생각들을 명료하게 볼 수 있는 힘 즉 사띠가 극대화되는 겁니다. 그래서 화났을 때 볼 수 있는 힘도 강해지는 것입니다.

그런데 두 번째 화살을 쏘지 않고 고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내용이 『디가니까야』에 있는 「정신경(淨信經)」에 나옵니다. 삶의 방해 요소가 제거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도록 지도하는 것이 부처님의 최상의 교육방법입니다. 방해 요소를 직접 자꾸 건드리니 더 싸움이 되는 겁니다.

세 번째 화살은 무엇입니까? ‘수행했는데 왜 이러냐?’라고 스스로 트집을 잡는 마음입니다. 수행 후의 차이점은 부부싸움을 자주 하더라도, 냉전 시간이 짧아진다는 것입니다. 빨리 마음이 흘러가게, 좋고 싫은 감정이 오래 머물지 않게 하는 것입니다. 즉 ‘응무소주이생기심’이 되는 사람, 행위를 하고 나서 남는 것이 없는 사람, 이런 사람이 에너지가 꽉 차 있는 사람입니다. 마왕 파순이에게 틈을 주니까 삼재팔난이 들어오는 것입니다. 오늘 제가 드린 두 가지 부적 잊지 마시고, 스스로 행복해지기 위해 주위와 행복을 나누시기 바랍니다.

정리=남수연 기자 namsy@beopbo.com

2월 4일 서울 동작구 상도동에 위치한 상도선원에서 봉행된 입춘 법회에서 선원장 미산 스님이 ‘입춘’을 주제로 한 법문 내용을 요약 게재한 것입니다.


미산 스님은

1972년 백양사에서 출가. 봉암사와 백양사 운문선원 등에서 간화선 수행을 하고 인도와 미얀마에서 초기불교 선 수행을 했다. 동국대학교 불교대학 선학과 졸업 후 팔리어와 산스크리트어 문헌 연구로 인도 뿌나대학교에서 석사학위,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동양학부에서 「남방불교의 찰나설 연구」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하버드대학교 세계종교연구소 선임연구원, 대한불교조계종 사회부장을 역임했다. 현재 중앙승가대학교 포교사회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백운암 상도선원 선원장으로 도심사찰에 적합한 21세기형 사찰운영시스템과 수행 중심의 신행 생활 정립에 매진하고 있다.

댓글
주제와 무관한 댓글, 악플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