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문자료실

활구선 참구의 대중화 현장을 찾아...

페이지 정보

작성자관리자 작성일08-08-29 18:21 조회3,084회 댓글0건

본문


활구선 참구의 대중화 현장을 찾아...

글_ 송윤미(본지 편집주간)



2826830917_a14728c5_BDBAB4D4BBE7C1F81.jp


부산 안국선원과 서울 안국선원에는 약 3천여 명의 신도들이 재가 생활에 맞춰 매일 새벽과 오전,
오후 시간에 자신들의 정진을 하고, 동안거와 하안거에 대부분의 신도들이 참가하여 참선 수행에 매진하고 있다.
선의 대중화에 앞장서고 계신 (재)대한불교조계종 안국선원장 수불스님을 하림스님과 본지 편집장이 찾아뵈었다.


편집장 : 매일 많은 신도들이 안국선원에 나와 참선을 하며 결제에 참여하는 사진을 모 일간지를 통해 본 적이 있습니다.
한국 불교의 많은 수행법 가운데 재가자들을 상대로 간화선을 택하신 이유에 대해 여쭙고 싶습니다.

수불스님 : 조계종의 전통적 수행법이 간화선인데 한국 정서에는 간화선이 적합한 것 같습니다.
남방 불교의 위빠사나도 부처님 수행법 중 하나이지만 그것은 그쪽 풍토에 맞는 수행법이고 우리 북방 불교
풍토에서 수행의 조건을 이야기한다면 간화선이 아닐까 합니다. 묵조선도 있지만 묵조선은 편안한 입장에서
전개할 수 있는 수행법입니다. 의식주가 해결될 수 있는 남방의 수행법보다는 겨울을 넘기는 환경 속에서 수행하려면
또 다른 차원의 수행법이 우리 일반 대중에게 선보여야 되지 않겠습니까? 그런 차원에서 간화선이 가장 빠르고
효과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옛날 우리 선조 스님들이 간화선을 이 땅에 잘 뿌리내리도록 인연 맺게 한 것은 탁월한 선택이었습니다.

하림스님 : 선이라는 것이 특별한 선원에서만 행해지고 스님들만의 특별한 세계인 양 여겨지면
일반인들과 거리가 멀어질 수도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던 것이 현재 스님의 노력으로
대중화에 성공한 것은 첫 사례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간화선을 어렵다고 여기고
또한 수행의 맛을 느끼지 못할 거라고 생각해서 염불과 기도를 겸하는데 스님은 그런 부분을 어떻게 풀어내시고
어떤 관점으로 극복해내시는지 듣고 싶습니다.

수불스님 : 좋은 질문입니다. 신도들에게 처음부터 바로 선을 하라고 하면 스님도 아닌 입장에서 받아들이기가 쉽지 않죠.
거기에 맞는 차원의 기초적인 것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선을 왜 해야 하는지, 또 선은 어떤 것인지에 대해
바른 이해를 심어 주고 난 다음 선을 할 수 있는 분위기에서 선을 할 수 있도록 자꾸 유도를 합니다.
또한 본인이 직접 원하는 사람들은 선적(禪的) 체험을 잘 할 수 있게끔 인연을 제공합니다.
이론적으로 선이 좋다는 것은 세상에 공개됐지만 그 좋은 선을 어떻게 해야 되는지에 대한 이해가 없으니까
자꾸 명상 쪽으로 흘러간다든지 위빠사나에 생각을 빼앗깁니다. 간화선을 한다고 해도 ??이뭣꼬??하는
죽은 화두만 들고 있습니다. '이뭣꼬'를 하지 말라는 게 아닙니다. '이뭣꼬'를 어떻게 해야지 제대로 된 '이뭣꼬'
수행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리가 안 되니까 ??이뭣꼬??해야 되는 줄만 알고 있지 '이뭣꼬'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경계 체험이라든가 그런 것을 이겨내는 방법을 소화하지 못 하고 있습니다.
이는 본인 스스로는 못 할 거고 옆에서 과정을 지켜보면서 방향을 잡아줘야 쉽게 갈 수 있는 것입니다.
즉 시작은 있는데 중간 과정이 생략되어 결과를 제대로 낼 수가 없지 않았나 합니다. 기존 참선하는 분들이
굉장히 노력하고 최선을 다하는 것은 사실인데 더 이상 연결을 못해주니까 선이 어렵다 하고 해 보고 난 뒤에
자꾸 이상한 쪽으로 흘러가고 변질되는 입장에 서 있습니다. 전에는 하고 싶어도 몰라서 못 했지만
지금은 정보화시대인데 제대로 가르쳐주는 데가 없습니다. 선 수행이 된 분들은 나와 줘야 하는 상황인데
원하는 사람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들에게 선의 체험을 하게 해 주지 못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도대체 이유가 이쪽에 있느냐? 저쪽에 있느냐? 그런 것도 우리는 짚고 넘어가야 되지 않겠나하는 생각이 많이 들죠.
제 스스로도 산중 절속이나 조실 스님 옆에 있으면 더 좋다는 것을 왜 모르겠습니까? 그러나 그런 입장을 다 팽개치고
저 시장 밑바닥에서부터 시작한 것은 과거 스님들은 어떻게 수행했고 지금은 현실 속에서 어떻게 수행해야 되는지에
대하여 내가 갖고 있는 것을 세상에 최대한 드러내고자 합니다. 저의 조그마한 이야기가 그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을까 해서 하는 것이지 나를 어떤 높은 차원으로 끌어올리려는 것은 아닙니다.    

하림스님 : 선방에서 보면 스님들도 그것이 풀어야 할 문제입니다. 선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준비되고
배우지 못한 상태에서 참선을 계속해야 하는 부분도 좀 있거든요. 요즘은 기초선원도 생기는 등
그런 부분을 해소하려고 노력을 많이 하는데 미국에 살아보니까 서양에서는 아봐타라든가 남방불교가
이런 것들에 대한 준비가 잘 되어 있고 체계화되었는데 우리 한국 불교는 이런 체계화 부분을 시도도 못해봤습니다.
그런데 스님께서 일반 재가자들에게 체계적으로 체험하고 성취해나가는 과정을 시도하신 것은 특별한 현상이거든요.
어떻게 그런 부분을 접목시켜 가시는지…….

수불스님 : 그건 핵심적인 질문인데 제가 알기에도 위빠사나와 아봐타는 체계화되었어요.
조금만 노력을 해도 조그마한 경계 체험을 하는 거예요. 그런 체험을 하니까 그 다음이 궁금해지고
또 그런 것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그 다음을 얘기하고 또 그 다음, 그 다음, 이렇게 연결이 되니까
오히려 쉽게 와서 부딪힙니다. 일찍이 경험해보지 못한 것들이 피부로 느껴지니까
이것이 참다운 수행법이 아닌가라는 생각을 할 수도 있습니다. 그것이 수행이 아니냐 하면 수행이 맞죠.
난 그러한 수행도 수용하는 차원으로 생각하고 있지요. 그러나 저희 입장에서 볼 때는 그것은 가라앉히는
공부에 불과합니다. 맑히고 맑혀서 더 맑힐 수 없는 곳에 나아가서 통한다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그건 소승적인 입장이 들어가 있어요. 가라앉히는 공부 말고 불순물을 뽑아 없애는 공부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오히려 아주 딱딱하게 굳어있는 것도 흔들어 일으켜 없애는 공부를 우리가 도와주어야지 가라앉히기만 하면 되겠습니까?
비유하자면 맑은 것이 위에 뜨니까 가라앉히면 위에 뜬 것만큼은 맑아지지만 다시 흔들면 또다시 일어나는 공부와
확 뽑아 없애서 다시 흔들어도 안 일어나는 공부는 차원이 다른 겁니다. 대승의 수행법을 채택하고
공부할 수 있는 방법을 우리가 열어줘야 하는데 그런 입장이 결여되어 있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간화선이 세상에서 최고라고 하면 최고의 모습을 보여줘야 사람들이 믿지, 최고라고 말만 하거나 책만으로는 불충분합니다.
눈 뜬 스님들이 직접 몇몇이라도 나와 진짜 수행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이 얼마나 목말라하고 힘들어하는지
체험하고 그들의 아픈 마음을 달래 주는 동체대비심을 일으켜야 합니다. 우리 불교가 현실감이 없고
구태의연해진 것에서 벗어나 세상 사람들이 빨리 눈을 뜨게 해주도록 선이나 교에서 새로운 대안을 제시해줘야 합니다.
계속 불공, 기도, 제사 이런 식으로만 가면 우리 불교가 정말 곤란해집니다. 부처님의 참뜻, 불사가 무엇인지,
왜 깨달으라 했는지 명분을 바로 세워 눈뜰 수 있는 계기를 열어주고, 간화선의 참뜻은 어디에 있는지
그것을 직접 체험했을 때 무엇이 달라지는지에 대해 논리적인 이해만 추구하지 말고 실질적 참여를 통해
눈뜰 수 있는 계기를 열어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근원을 안다면 근원에 대한 이론적 제시도 하고
실증도 드러내서 많은 사람들이 확연하게 그런 거구나 느낄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줘야 옳은 길이지
그런 인연을 못 쓴다면 하나마나 한 것이 아니겠습니까?

2826830917_042c1bce_BCADBFEFBEC8B1B9BCB1
서울 안국선원 정진모습

2826830917_644747f4_051017_07.jpg
뉴욕 안국선원


편집장
: 스님께서 일반인들에게 펼쳐 보이신 간화선의 화두 참구 과정을 쉽고도 간단하게 제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수불스님 : 화두를 참구할 때 스님들의 경우는 자기 나름대로 들거나 큰 스님에게 직접 화두를 받습니다.
그러나 일반인들의 경우, 특히 선에 대해 관심도 없는 일반인들에게 선에 대해 관심을 제기하는 것은
물속에 있는 나무를 불태우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나 종교를 믿으면 천당 가고 안 믿으면 지옥 간다고 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종교를 불문하고 천당 가고 지옥 가는 것은 사람 성품의 차이일 뿐입니다.
이들에게 종교를 믿는 이유와 목적을 초보적인 단계에서 쉽게 묻습니다. 호기심을 느낀 이들에게 화두를 제시하고
그 다음 다른 단계로 넘어갑니다. 처음부터 화두를 제시해 주지는 않습니다. 공부는 자기 인연 따라
지어가는 것이므로 그 경계에서 겁먹고 물러서지 말아야 합니다. 모든 바탕의 기초는 간절함입니다.
그러기 위해 신심과 용맹심을 내야 합니다. 의심이 바로 들게끔 하는 일례를 말씀드        리겠습니다.
예를 들자면 한 손으로 컵을 들게 하고 상대에게 묻습니다.
"누가 컵을 들게 합니까?"
"손이 합니다.", "스님이 하라 해서 합니다.", "내가 합니다.", "마음이 합니다."라고 제각기 대답합니다.
"그런 대답은 상식적입니다. 그런 상식적인 것 말고 또 다른 입장에서 얘기해 보세요."라고 재차 묻습니다.
그러면 대답을 못합니다.
"그런 입장을 본인이 모르니까 내가 말해드리겠습니다.
 컵을 들게 하는 것은 손도 아니고 나도 아니고 마음도 아닙니다. 그렇지만 하지 않는 것도 아닙니다."
또다시 못 알아들으니까 "이것이 무슨 말인고?" 하며 더욱 궁지에 몰립니다.
만약 이것을 마음이 한다면 왜 할까요? 마음이란 마음이 아니고 그 이름이 마음일 뿐이며
마음을 깨달은 부처님께서 그 마음을 깨닫게 하기 위해 붙이신 이름이 마음이요 불성이요 여래이며 원각입니다.
컵을 든 것을 만약 내가 하거나 손이 했다면 내가 죽은 후에는 어찌 될 것이며 관 속에 들어가기 전에
계속 손이 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지금까지는 뭔가에 의해 끌려다녔던 것입니다. 다시 더욱 노골적으로 묻습니다.
"송장 끌고 다닌 놈은 무엇이냐?, 누가 나를 이렇게 하느냐?", "문제는 알면서 왜 답을 못하느냐"그러면
본인이 궁금하던 차에 꽉 막히니까 목까지 치미는 답답함을 느끼게 됩니다. 이에 따라 그 인연을 깨워주는 거지요.
컵만 들어도 알면 말할 필요가 없지만 이때도 모르면 누가 컵을 들었냐고 묻고 또 모르므로 다시 설명하는 것입니다.
계속 의심이 들므로 화두 의심을 안 하려고 해도 저절로 의심이 들게 되고 자기 스스로 깨닫게 되는 것입니다.
이때는 스님 말씀이나 부처님 말씀도 디 샛길로 빠지는 것입니다. 화두 참구법은 그냥 그 화두만을 생각하는 것이 아닙니다.
계속 '이뭣꼬?'만 드는 것은 죽은 화두참구법입니다. 사람은 누구에게나 본고장인 근원 마음으로 돌아가고 싶은
귀소본능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살아있는 화두를 참구한다면 혼침에 빠지거나 다른 수행법을 찾아가는 경우가 생기지 않습니다.

편집장 : 스님께서는 언제부터 포교 활동을 시작하셨으며 앞으로의 계획에 대해 말씀해주시기 바랍니다.

수불스님 : 저희 은사스님은 능가스님이시고 광덕스님과는 사형사제이십니다. 10년간 은사스님을 시봉하다가
1989년 부산에서 포교당을 열었습니다. 처음에는 힘들고 회의가 많이 들었습니다. 그러나 자신을 돌이켜
내 안에서 문제를 찾았습니다. 내가 상대에게 이익을 준 것이 아니라 우격다짐으로 화두 제시를 한 것에서
비롯되었던 겁니다. 그 후 1995년에 부산과 1996년 서울에서 실질적으로 포교 활동을 펼치기 시작했는데
내가 앞장서서 나만이 한다는 생각이 아니라 누군가 해야 할 일을 내가 대신 한다는 각오입니다.
용성스님의 각(覺) 운동과 광덕스님의 바라밀 운동, 성철스님께서 말씀하신 내용에 따라 가까운 데부터 불교 운동을
시작하는 거지요. 깨달음의 눈으로 세상을 보며 사명감을 갖고 수행해나갈 겁니다. 
오는 11월 6일에는 부산에서 지하 1층, 지상 4층에 3개동 규모가 되는 안국선원의 신축개원식을 합니다.
땅을 사서 4년 만에 건립된 건물인데 안팎 기운의 조화를 느끼도록 무중력 상태에서 실을 늘어뜨릴 때
생기는 각도대로 건축 설계를 하였습니다. 서양에는 미국의 휴스턴과 뉴질랜드 오클랜드에 수행도량을 갖고 있습니다.

하림스님, 편집장 : 바쁘신 중에 틈을 내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수불스님께서는 내일 미국으로 출발하시는 데도 불구하고 오랜 시간동안 말씀해 주셨다. 
안국선원 임원진들도 늦은 시각까지 자리를 함께 해 주셨다. 진리에 눈뜨도록 길을 인도해 주시는
스님의 자애로움과 포교를 위한 커다란 원력을 함께 느낄 수 있었던 귀중한 자리였다. 눈 밝은 선지식의
지도를 받아 공부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 지 새삼 느끼며 발걸음을 옮겼다.     




An Interview with Subul Sunim,

the Founder of Ankook Zen Center

written by  Yun Mi Song
Translated by  Hyeon Sil Kim



Everday about 3,000 members of Ankook Zen Center practice Zen in the Seoul and the Busan centers.
Members can choose any of the available sessions which are held three times a day:  dawn, morning and afternoon.
Most members especially participate in the winter and summer retreats.
Halim Sunim, the editor of Clear Mind interviewed Subul Sunim, who is the head monk of Ankook Zen Center.
He is a leader in the popularization of Zen practice.

Editor: Hello Sunim. Recently a daily newspaper showed a photo of a lot of people  practicing meditation
during retreat time at Ankook Zen Center. As I understand, you have chosen to teach Zen to lay Buddhists.
Why have you picked this system instead of the many others that are available?

Subul Sunim: It is the traditional Korean Jogye Order’s practice and I think it really suits the atmosphere
and culture of Korea. In Southern Buddhist countries, they do Vipassana which fits them.
In terms of climate conditions in Northern Buddhism, there are two ways of Zen practice,
one is Ganhwa Seon and the other one is Mukjo Seon (Silent-contemplation). Among these two,
the most suitable one for us is Ganhwa Seon; it fits into our life well.
Northern Buddhist countries have to practice in the cold winter season, and so we need our own method.
That is Ganhwa Seon, which is very quick and effective. I admire our ancestors who so wisely chose
it and taught it in Korea.

Halim Sunim: If Zen practice is just considered for monastics and the practice is found in certain meditation halls,
then the lay Buddhists feel discriminated against. Actually it has usually been this way -- until now.
However, after you have worked hard over many years, Ganhwa Soen has been successfully popularized
for the first time. In general, as it is a difficult method, even after practicing hard, most people
do not know the truth of this method. Therefore, chanting and kido (religious practice) usually accompany
the Zen practice. Would you tell me your point of view as to the use of combining these two practices?
And in your case, how do you deal with it?

2826830917_0ac5d034_SA700924.JPG



Subul Sunim
: Very good question. It is surely not easy for lay Buddhists to practice Zen from the beginning.
How to start Zen practice is totally up to each person’s level of understanding Buddhism. From that level,
everybody should begin from the very basics.
Let them think,
“Why do I practice Zen?” or “What is Zen?” And my role is just to motivate them to have a good enough environment to practice.
After practicing for some time, whoever wants to feel sense-objects (note: Sunim means the various experiences
that one has in meditation), then I guide them.
Theoretically, everybody now knows that Ganhwa Seon is very good. But practitioners do not understand
why it is good and how to do it properly. Therefore they are tempted to practice Vipassana or other styles of meditation.
Though practitioners concentrate on their hwa-du, such as “what is this?” it is not an active one.
I am not saying do not concentrate on the hwa-du “what is this?” but do it with clear understanding.
Without having the correct idea about it, practitioners simply concentrate on the hwa-du.
Therefore, they are not aware of sense-objects and they don’t know how to sort out these problems.
Therefore, a teacher should guide practitioners. While they are concentrating on hwa-du,
there is a beginning but no middle and so they cannot expect any good results,
even though true practitioners make a lot efforts even without any clear guidelines.
Therefore, people have come to believe that practicing Zen is very difficult.
Besides, after practicing in this way for some time, people tend to lose their way and so misunderstand the true meaning.
It is up to monks or nuns who have experience to teach people now.
In the past, ordinary people were not able to practice because of lack of information. But now,
we are living in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but in spite of this people are still unable to learn
because there is nobody who is willing to teach them. I’m often wondering how it is that people
want to learn and yet they don’t have a teacher? Whose fault is it? Now, I have to point out the problem.
In my case, if I stay in a temple deep in the mountains or practice under a spiritual leader,
 then I would be much better off than now. But I abandoned all, and started to teach people from
the market place because I wanted to share the knowledge I had as much as I could.
I wanted people to know how the monks in ancient times practiced and how their practice can be integrated into modern society.
In actual fact, I just started to help people but not by putting myself up. 

Halim Sunim: Monks and nuns who practice in meditation halls should be concerned by this problem and sort it out.
Actually, some of them do not learn Zen step-by-step and are not really ready to practice in spite of this
they just start and continue to practice. Nowadays, there are meditation centers for teaching basic Zen
and trying to work out problems.
When I lived in America, I noticed that there are various well-organized programs such as Avatar and
Theravada Buddhism in order to avoid the same problems. I must say that Korean Buddhism
has not tried to systemize anything yet. I believe in teaching lay Buddhists very systematically
so that they experience and are fulfilled while they are practicing.
Your methods are very unusual. How do you see these two methods of practice?

Subul Sunim: You have pinpointed the problem very clearly. As far as I know, those two programs are well organized.
After some time practicing, meditators feel sense-objects. So they really get curious as to what will happen next.
Also people who have been practicing for awhile, talk about the next stage, and the next one.
It means the whole procedure is connected so that it is easy to do. Those things never happened before at all.
So it is simply regarded as the right way to practice and people easily choose this method. People may ask me if it is the right one.
And I answer them that it is and so I just accept them. From the Zen viewpoint, they are merely calming down
their busy minds and so after some time of practicing this refining procedure, they finally reach a pure state
which can be called enlightenment. The Zen practice is, so to speak, a method of getting rid of all impurities.
Totally throwing them out. There is very big difference between the Zen method and other methods.
It is the duty of Korean Buddhism to guide meditators to choosing the practice of Zen and helping them to do it.
But Korean Buddhism is very inactive at the moment. Many say that Zen is the best so then they should prove how good it is.
After that people will surely believe in it. It is not a good enough method to prove it through books or by just talking.
Even though there are only a few monks and nuns who are aware of the present urgent situation
and realize how people are craving to practice, that is enough. Monastics should be provoked
and aware of lay Buddhists suffering. With great compassion, they have to be with the people.
Present-day Korean Buddhism stays quite far away from society and still keeps its old form.
Without alternative guide lines through Seon or through academic books, Korean Buddhism won’t be able to change,
and it will just stay in the same old state it is in today. Besides Korean Buddhism will face difficulties
if it continues to just conduct Buddhist offering ceremonies, religious practice, and memorial ceremonies.
All Buddhists have to know the real meaning of the Buddha’s teaching and what is true Buddhist work.
They need to understand why did the Buddha taught us the way to enlightenment.
Monastics should lead lay Buddhists on the right path so that they understand Buddhism correctly.
It is not necessary to think so intellectually about Ganhwa Seon but we should help people to know the true meaning of Ganhwa Seon.
Let us give them a chance to practice and help them to be aware of how they can be changed after practicing Zen in a practical way.

Editor: Could you tell us your teaching procedure briefly and simply?

Subul Sunim: In the case of monastic practitioners, their master gives them a hwa-du or they choose it by themselves.
But in the case of lay Buddhists, especially those who have no interest in Zen at all, it is a different story.
It is like a log which is in the water, it is almost impossible to set it alight.
I ask a simple and very basic question; What is the reason for and what is the aim you have in practicing a religion?
I only give hwa-du to those who are curious after hearing my questions, then I guide them to the next step.
People practice according to their karma and in this way they make new karma. After a while,
people may become more aware of sense-objects and as they are not frightened ?
because of being guided -- by their experience, they just keep on concentrating.
The foundation of beginning to practice is desperation, the driving need to practice, to understand.
Actually it i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starting to practice. From this base there arises devotion and courage to practice.
Let me give you a simple demonstration of the effect of my question.
Let me hold a cup in one hand, and ask “Who holds the cup?”
The answers are varied: the hand holds it, or Sunim holds it, or I do, or my mind does, etc. Those answers are all the result of common sense. However when I ask again for an answer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then he/she simply does not answer. Then I answer the question myself. My hand does not hold the cup, nor is it done by myself,
nor by my mind. Nobody else does anything either. Then, even though the other person knows my question,
he/she still doesn’t understand it clearly and this leads to a very uncomfortable situation. If my mind holds the cup,
then why does my mind do it? Mind is not mind. After the Buddha attained enlightenment, he just put a name to it calling it ‘mind.’
It can be called the Buddha Nature, Thathagata, and complete enlightenment. If you hold a cup or the hand does,
then what will happen after you die? You or your hand should hold the cup until the last moment when you go into your coffin.
Again I ask directly “Who is carrying your dead body? Who makes you do this?” “You know the question,
then you must answer it but why can’t you?” He/she gets more frustrated. At that moment, I just help people
to become aware of their karmical connection.
Once people get the meaning of holding a cup, I do not need to explain. But as long as they don’t know, I repeat my question.
Once people start to doubt their ability to answer, they cannot stop focusing on that doubt. Eventually they get the answer to their doubt.
While they penetrate this doubt, they do not need a Sunim’s advice or the Buddha’s teaching.
Concentrating on the hwa-du is not simply focusing on it. If they just concentrate on their hwa-du, it is not a live one.
As human beings, we all have the instinct of wanting to go home, which is our mind. Therefore,
if you concentrate on an active hwa-du, you will not be lazy in practice, nor try other ways of practice.

Editor: Could you tell me since when you have been teaching Buddhism? Also what is your future plan?

Subul sunim: My teacher is Neung-ga Sunim, and Gwang-deok Sunim is my Dharma brother.
I assisted my teacher for ten years and then opened a Buddhist center in 1989 in Busan. I had a very difficult time
and I even came to regret opening the center at the beginning. After reflecting carefully on myself, I found that I had problems.
These problems originated within me and were not due to others or to circumstances. At that time
I was not concerned about people but just forced them to practice hwa-du. In actual fact I mainly started teaching
in 1995 in Busan and in 1996 in Seoul. From that time I taught with a very clear idea: I do not think that I am the only one
who can teach and so I do it on behalf of others. I followed the awakening movement of Yong-seong Sunim,
Kwang-deok Sunim’s Paramita one and Seong-cheol Sunim’s teachings and came to see that Buddhism is not far away from us.
Watching the world with ever-opening eyes, I keep practicing as my obligation.
Busan Ankook Zen Center opening ceremony is on November 6th in Busan. Four years after purchasing the land,
it has now been constructed. It consists of three four-story buildings. It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angle
which is made when a thread falls down in a gravity-free state. In this way we feel the balance of energy inside and outside.
There are two more centers in Houston, America and Auckland, New Zealand.

Editor’s note: Subul Sunim was due to leave for America the next day, but he spent quite a long time with us.
We really appreciate him and the Ankook Zen Center committee members’ time and dedication.
While we were with him, we could feel his compassion and the power of his way of teaching Buddhism.
It was a very good time for us to realize how important it is to be guided by a good, knowledgeable teacher.


clearmind Vol.3 2005 11-12 월호 내용입니다.

댓글
주제와 무관한 댓글, 악플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