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미국교사 한국' 수업사례 ...LA중앙일보 10. 8. 5

페이지 정보

작성자관리자 작성일10-08-20 16:36 조회3,220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LA한국문화원의 릭 필립스(왼쪽)가 미 교육자 대상 한국문화.역사 여름세미나에 참가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국 전통 악기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상진 기자
미 전역 초.중.고교에서 코리아를 알리는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분야도 다양하다. 문학.시조.미술.건축.역사.요리.사회학 등을 통해 한국 문화의 정수에 접근하고 있다. LA한국문화원에서 집중과정을 통해 코리아를 배운 교사들이 각 학교로 돌아가 '한류'를 퍼뜨린 사례를 모았다.

#알래스카주 앵커리지 소재 이스트 고등학교. 캐롤 콤스 수학 교사는 석굴암의 기학적인 부분을 이용 수학 강의에 적용했다. 또 학교 내 교사진을 대상으로 한국에 관한 프레젠테이션을 실시했다.

#위스컨신주 애플톤 재비어 고등학교 린 제트맨 미술 교사는 학교에서 자금을 받아 LA카운티 미술관에 전시됐던 한국 최정화 작가의 '해피 해피' 작품을 재연했다. 143명의 학생들이 함께 참가한 이 프로젝트의 작품명은 '태양의 해피 해피'다. 또 학생들과 한국 민속예술을 접목시킨 민화 작품 '까치와 호랑이'도 제작했다.

#인구 1만명도 안되는 알래스카주의 소도시 케치칸시. 케치칸 고등학교에는 한국 역사 및 문학에 관한 6주 교육과정이 개설됐다. 세계 및 아시아 문학을 담당하고 있는 새라 켐벨 교사가 직접 만들었다.

#동부 매사추세츠주 웨스트 스프링필드시의 맥더피 학교 학생들은 박완서 작가의 '겨울 나들이'를 통해 문학평론을 배웠다. 세계문학을 가르치는 제니스 힐 교사의 교과 과정이다. 이 과정에는 단군신화도 포함돼 있다.

#뉴저지주 루더포드 소재 놀던 밸리 리저널 고등학교(올드 타판). 브라이언 핸슨-하딩 아시아 문학 교사는 한국 문학 소개를 포함한 1년 과정의 아시아 문학 과정을 개발했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과 함께 한국 불교사원을 방문했고 한국 다도와 판소리도 가르치고 있다.

원본 크기의 사진을 보려면 클릭하세요

#워싱턴주 긱 하버 소재 본 초등학교의 5학년 담당인 어니스트 도니하워 교사는 한달 과정의 한국 문화와 역사 수업을 개발했으며 지난 5월 15일 시애틀 워싱턴 대학교 컨퍼런스에서 한국 관련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했다.

#가주 산호세 소재 브랫 하트 중학교의 빅키 노사노브 골드맨 교사(미국 역사 및 요리). 그는 학교 도서관에 한국 자료들을 비치했고 7학년 역사 교육과정에 한국역사와 문화를 포함시켰다. 특히 8학년 학생들에게 한국 음식 만드는 법을 가르쳤다.

#콜로라도주 롱몬트 소재 인디안 픽스 초등학교. 린마리 해나팰 교사는 콜로라도주 사회학 컨퍼런스에서 한국 섹션을 만들었으며 '신라와 실크로드'에 관한 수업도 진행했다. 또 콜로라도 대학교 내 전국 아시아학 교육 협의회 한국프로그램 신설을 도왔다.

#미시간주 뉴포트시 매리 페리쉬 학교의 미셸 리 교사. 세계사.미국 역사 등을 가르치는 그는 자신의 학생들과 그룹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의 문화와 역사에 대해 리서치했다. 또 한인작가 린다 수 박의 '사금파리 한 조각'과 '연싸움' 을 읽게 했다. 한국 시조도 가르치고 있다.

'석굴암'으로 수학강의 민화 '까치와 호랑이' 제작
박완서 작품으로 문학 평론 한국 역사·음식 산교육 'DMZ 가상체험투어'도

#인디애나주 라파옛 소재 제퍼슨 고등학교 토드 골딩 교사(세계사)는 수업 과정에 한국 역사와 문화를 포함시켰다. 이 교사는 현재 'DMZ 가상체험투어' 웹사이트를 개발중이다.

#워싱턴주 레이시 소재 마운트 뷰 초등학교의 수잔 코퍼 교사는 '한국의 신데렐라'라는 주제로 3ㆍ4학년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또 6학년 담당 교사들과 함께 2주 과정의 한국 문화와 역사 수업를 만들었다.

#노스 캐롤라이나주 에이팩스 소재 웨스트 캐리 중학교 린다 루이스 세계사 교사는 평소 중국과 일본에 대해서만 알고있는 7학년 학생들에게 한국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가르치고 있다.

#인구 5만명의 남부 플로리다주 오칼라시. 아시안 인구 비율은 3%가 안된다. 이 지역 포트 킹 중학교의 다이안 쉬리어 교사는 학생들에게 한국 문화를 알리는 DVD를 상영한다. 한국전쟁 이후 한국의 발전상도 소개한다.

#메릴랜드주 위튼시 앨버트 에인스테인 고등학교의 멜리사 푸리다스 교사는 한국 관련 DVD와 파워포인트 교육자료를 다른 교사들에게 제공했으며 한국 문학 교육과정을 개설했다.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존 버로우 학교의 리처드 샌들러 아시아 문학 교사는 이문열의 '우리들의 일그러진 영웅'을 수업시간에 사용했다. 그는 또 다른 교사들과 함께 'Education About Asia'지에 기사를 게재했으며 최근에는 '천암함 침몰사건'에 대해서도 학생들과 토론 시간을 가졌다.

#뉴욕주 뉴욕 소재 프랜즈 세미나리 교육구 콘스탄스 비도 디렉터는 한국 시조에 대한 교육자료를 만들었고 한인 동화작가 린다 수 박의 '연싸움'과 '사금파리 한 조각'에 대한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을 만들었다.

#콜로라도주 라파옛 소재 라파옛 초등학교의 린 윌리암스 미술 교사. 린 교사는 콜로라도 대학교에서 마크 피터슨 교수를 초청하여 'Ancient Korea's Golden Age and Its Place on the Silk Road' 주제로 워크샵을 개최했다. 또 자신의 독서클럽에서 한인 작가 헬리 리의 '할머니가 있는 풍경'을 소개했다.

#미시간주 버밍햄시 크렌브룩 킹스우드 어퍼 학교의 알렉시스 폴락 교사. 세계 문학과 현대 희곡 등을 가르치는 그는 역사 및 영문학 교사들과 함께 한국관련 정보와 자료를 공유했다. 황순원의 '학'을 통해 한국전쟁을 학생들에게 가르쳤다.

#워싱턴주 시애틀 소재 켄트 교육구 홀리 스테인 교사는 워싱턴 대학교에서 약 80명가량의 선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에 대한 연구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그는 또 LA폭동을 소재로 교육자를 위한 파워포인트 자료를 제작했다.

박상우 기자

댓글
주제와 무관한 댓글, 악플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