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탄 실천불교전국승가회 부설 불교미래사회연구소(소장 법안 스님) '조계종 교구 활성화 방안 연구' ...미디어붓다 10. …
페이지 정보
작성자관리자 작성일10-02-02 14:32 조회2,748회 댓글0건페이지주소
관련링크
본문
종단 핵심과제인 포교를 위한 전략적인 지침서가 될만한 보고서가 나와 주목을 끈다. 실천불교전국승가회 부설 불교미래사회연구소(소장 법안 스님)가 최근 '조계종 교구 활성화 방안 연구'를 내놓았다.
통합종단 출범후 방치되다시피한 수두권 포교의 참담한 결과와 지방분권화를 역행하는 현 교구제, 대의제와는 거리가 먼 교구별 중앙종회의원 및 총무원장 선거인단 획정, 무기력한 직할교구 아래에 과도하게 집중된 사설사암 중심의 말사들... 포교에서 종단정치 지형에 이르기까지 정밀하게 분석된 보고서는 향후 종단 비전 실현과 직결된 내용을 담고 있다.
기존의 통계자료와 약간의 추가조사만으로도 세밀하고 들여다보면 문제의 본질과 대안이 도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이 보고서가 던지는 의미는 크다. 불교닷컴은 4회에 걸쳐 보고서 내용을 연재한다. <편집자 주>
1. 통계로 본 한국의 종교지형 및 사찰분포 현황
2. 현행 교구제도의 실태와 문제점
3. 교구의 역할 제고 및 개선방향
4. 교구 재편과 직할교구 활성화 방안
2005년 통계청이 조사한 인구센서스에서 불교는 22.8%로 최대종교임을 확인했다. 4,700만명 가운데 1,070만명에 해당하는 수치다. 개신교와 천주교는 18.3%, 10.9%로 뒤를 이었다.
반면 종교인구 증가율에서는 불교 28%, 개신교 34%, 천주교 58%로 불교가 상대적으로 낮다.
이 통계로라면 불교는 증가율이 낮기는 하지만 최대종교로서의 위상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불교는 심각한 지경에 놓여 있음이 확인된다.
대한민국 중심 수도권서 밀려나는 불교
우리나라의 인구 절반이 집중돼 있는 수도권에서 불교는 1위 자리를 개신교에 내주고 있고 천주교에도 바짝 추격 당했다.
서울은 개신교가 42.2%로 압도적인 1위이고, 불교는 31.2%, 천주교 26.2%였다. 인천은 이보다 더 심각해 개신교 44.7%, 불교 27.6%, 천주교 27.4%다. 천주교에도 밀릴 태세다.
경기도는 개신교 42.6%, 불교 32.8%, 천주교 24.2%로 서울과 비슷한 양상으로 나타났다.
불교인구의 증감율을 따져보면, 불교는 성장세라기 보다는 하향세에 있음이 확인된다.
서울의 불교인구는 1995년 188만3천명이었으나 2005년 조사에서는 164만3천명으로 감소했다. 이는 서울인구대비 1.7% 하락한 수치다.
인천은 불교인구가 1995년 33만7천명에서 2005년 34만8천명으로 늘었으나, 인천인구가 23만명이 늘어난 것을 감안하면 불교인구가 0.8% 감소했다.
경기도도 인천과 비슷하다. 1995년 141만7천명이던 불교인구는 174만1천명으로 늘었으나, 경기도 인구가 280만명이 증가한 점을 견주어 봤을때 1.8% 줄었다.
전국의 조계종 사찰은 2,759개소로, 서울 236, 부산 191, 대구 158, 인천 38, 광주 32, 대전 59, 울산 53, 경기 375, 강원 165, 충남 207, 충북 126, 전남 140, 전북 122, 경남 402, 경북 378, 제주 43, 해외 34곳으로 나뉘어 분포돼 있다.
버림 받은 땅 신도시·뉴타운-사찰 지역편중 심각
이를 행정구역 인구와 사찰을 대비하면 명암이 갈린다.
2009년 통계청 인구주택조사 결과 전체 인구 4,964만명을 사찰수로 나누면 1개 사찰이 1만8,217명을 감당하는 꼴이다.
문제는 지역별 편중현상이 심각하고 신도시 포교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음이 확인된다.
경북은 사찰1곳 당 전국평균 보다 2배 이상 적은 7,064명을 담당하고 있지만, 인천은 7만983명을 감당해 경북의 10배나 많은 인원을 책임진다.
전국 평균 보다 사정이 나은 곳은 대구, 강원, 충남북, 전남북, 경남북, 제주 등이다. 광역시 중에는 대구가 유일하다. 이와 대조적으로 광주 4만4,600명, 서울 4만3,333명, 경기 3만291명, 대전 2만5,121명, 울산 2만1,014명, 부산 1만8,605명 등 평균 이상의 인원을 감당한 것으로 나왔다.
이번 통계에서 가장 눈여겨봐야 할 점은 불교의 신도시 포교전략 부재가 여실히 드러난다는 점이다.
수도권에서 개발했거나 개발중인 신도시지역인 성남 판교와 위례, 수원 광교, 화성 동탄1·2, 양주, 파주, 김포 한강신도시의 불하된 종교용지에 입주한 사찰이 단 1곳도 없다.
신도시 마다 의무적으로 불하하는 종교용지를 개신교와 천주교가 전부 차지했음을 보여준다. 또한 신도시에 대한 불교의 전략적 접근이 이뤄지지 않고 있음이 확인된다.
그나마 판교신도시는 2곳의 사찰이 있으나, 기존의 사찰 1곳과 상가에 세로 입주한 포교당이다. 동탄2신도시와 파주신도시도 각각 기존의 사찰 2곳이 있다.
위례와 수원 광교, 화성 동탄1, 양주, 김포 한강 신도시는 기존 사찰 조차도 없다.
신도시 규모는 아니지만 뉴타운 개발이 이뤄진 지역도 사정이 좋지 않은건 마찬가지다.
뉴타운 개발이 이뤄진 고양, 부천, 안양, 남양주, 의정부, 평택, 시흥, 광명, 군포, 김포, 구리, 오산 등 12개 지역에서 개신교 비율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불교는 경기도평균인 32%에 미치지 못하는 30% 미만지역으로 분류됐다.
교구획정 대수술, 지역별 사찰공동체 절실
이번 조사에서 총무원장이 관할하는 직할사찰이 409곳으로 조사됐다.
이 가운데 수도권에 위치한 소속 사찰은 서울 122, 경기 95, 인천 22곳 등 239곳에 불과했다. 나머지 170개 사찰은 다른 시도나 해외에 산재해 있다. 지역별로는 강원 8, 경남 24, 경북 26, 전남 6, 전북 2, 충남 19, 충북 12, 제주 3, 부산 17, 대구 9, 광주 4, 대전 4, 울산 7, 해외 29개소로 분포했다.
게다가 직할교구 사찰 중 공찰의 비율은 14.2%에 불과했다.
불교미래사회연구소는 불교인구가 약간 늘기는 했지만 전체인구의 자연증가분에 미치지 못하는 마이너스성장이라는 점과 수도권지역과 광역시지역의 도심공동화 현상이 빚어지고 있음을 우려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수도권과 경기도 뉴타운, 신도시 지역에 대해 종단 차원의 포교전략과 거점사찰 설립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또 수도권 공동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직할교구의 합리적인 변화와 수도권 교구본사인 용주사·봉선사와의 긴밀한 협의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불교미래사회연구소는 "현재 한국불교가 처한 현실은 한순간에 정리될 수 없을 만큼 복잡한 과제를 안고 있다"며 "교구의 역할과 지역획정 등 굵직한 현안에 대해서는 중앙종무기관과 교구본사간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장기적인 비전과 과제를 만들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 교구본사제도가 안고 있는 문제 해결을 위해 장기적으로 교구획정의 조정 외에도 지역단위 연대활동, 즉 조계종사찰대표자회의 설립과 다양한 이해관계를 작은 공동체로 묶을 수 있는 적극적인 포교전략 수립, 지역사회 내 사찰의 역할 강화 등도 병행돼야 한다고 불교미래사회연구소는 설명했다.
댓글주제와 무관한 댓글, 악플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