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아인슈타인의 편지 ...한국일보 10. 2. 12

페이지 정보

작성자관리자 작성일10-02-16 14:37 조회3,204회 댓글0건

본문

아인슈타인의 편지

이광영(전 언론인)

천재 물리학자 아인슈타인의 세상에 알려지지 않았던 자필 편지 한 통이 최근 발견되어 지난 15일 런던 경매시장에 나와 비싸게 팔렸다. 그는 편지에 종교에 대한 그의 생각을 적었는데 지금까지 그의 종교관이라고 세상에 알려졌던 것과는 사뭇 달라 흥미롭다.

아인슈타인이 누구인가? 그는 상대성 이론을 발표함으로써 뉴턴 이래 200년간 물리학계의 경전으로 되었던 ‘거시(巨視)세계의 저속도(低速度) 운동’을 지배하였던 뉴턴 역학에 종지부를 찍고 인류가 그때까지 풀지 못했던 시간과 공간에 대한 오랜 의문을 풀고 빅뱅 이론을 도출하는데 결정적 공을 세운 천재 과학자이다. 아인슈타인은 1954년 1월3일 친구인 독일인 철학자 에릭 구트킨트에게 이 편지를 보냈는데 그는 종교의 믿음을 ‘유치한 미신’으로 치부하였다. 이어서 “신(神)이라는 단어는 인간의 나약함을 드러낸 것이며 성경은 훌륭하지만 매우 어리석은 것”이라고 했다. 그 자신 유대인이며 한때 이스라엘국 대통령을 맡아달라는 제의를 받았으나 거절한 바 있는 아인슈타인은 “유대인
은 선택받은 민족이 아니라 다른 민족과 다를 바 없다”고 쓰고 유대교도 ‘어리석은 미신’이라고 했다.

지금까지 기독교에서는 “종교 없는 과학은 절름발이이고 과학 없는 종교는 장님“이라고 술회한 바 있는 아인슈타인의 어록을 인용하며 “인류최고의 과학자도 종교를 인정하였다”고 주장. 기독교 선전에 이용해 왔었다. 그러나 영국의 진화생물학자 리차드 도킨스는 “기독교는 툭하면 유명인들을 들먹이며 종교적 관점을 그들의 입맛에 맞게 뒤집어 씌웠다” 면서 과학자는 증명해야 할 것들이 너무나 많다. 때문에 겸손한 표현으로 신을 얘기한 것뿐이며 아인슈타인의 삶은 신에 대한 부정, 신을 아예 처음부터 고려하지 않는 과학자의 인생이었다”고 그를 회상하였다.

새해벽두 서반구의 가난한 섬나라 아이티를 강타한 대지진은 30여만의 인명을 앗아갔고 나라를 폐허로 만들었다. 물질세계의 운동법칙에 따른 자연의 무의미한 폭력이 빚어낸 이런 참사에 대해 미국과 한국의 일부 기독교 목사들의 터무니없는 주장을 듣게 되면 과연 아인슈타인이 맞는 말을 하였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오늘날 과학과 기술의 눈부신 발전이 제공하는 대량의 정보는 시간이 갈수록 종교의 입지를 좁히고 있다. 생물학과 유전공학의 발전은 생명의 비밀도 파헤치고 있고 신의 영역이라는 생명의 창조도 먼 훗날의 얘기가 아니다.

이번에 발견된 편지에서 밝혀진 아인슈타인의 종교에 대한 견해는 철학과 신학계에도 파문을 일으킬 것으로 예상된다. 위대한 과학자의 비판을 계기 삼아 종교도 맹목이 아니라 이성으로 여과되고 과학의 지지를 받는 합리적 윤리규범으로 무장한 도덕운동으로 거듭나야 할 것 같다. 미신적 기복신앙과 물신숭배로 타락한 기성교회에 대한 반동으로 한국과 미국의 기독교계 일각에서 개혁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민중신학을 심화, 발전시켰다는 이른바 ‘떠돌이 신학’이 주목을 받고 있는 이들은 온 세계의 떠돌이 소외계층을 보듬어 안고 사랑과 나눔의 예수의 참 정신을 체화(體化)하고 반전. 평화. 민주 통일 운동에도 역동적으로 참여하면서 개혁운동을 선도하고 있다고 한다.

[한국일보]



신앙과 이성

박현숙(프린스턴 참빛교회 목사)

최근 한 전 언론인이 쓴 ‘아인슈타인의 편지’란 제하의 칼럼을 읽었다. 내용인즉, 아인슈타인의 자필 편지가 최근 발견되었는데 거기서 그는 종교를 유치한 미신으로, 신(神)이란 단어는 인간의 나약함의 표출이며 성경은 훌륭하나 어리석은 책이라 표현하였다는 것이다.

이 칼럼 기고자는 더 나아가 하이티의 대 지진은 ‘물질 세계의 운동법칙에 따른 자연의 무의미한 폭력이 빚어낸 참사’일 뿐인데 이에 대한 기독교 목사들의 터무니없는 주장에 대해 한탄하면서 위대한 과학자의 비판을 계기삼아 종교가 맹목을 버리고 이성적이고 과학적인 합리적 윤리규범으로 무장한 도덕운동으로 거듭날 것을 촉구하였다.그러나 흔히들 생각하듯 신학과 과학은 별개의 동떨어진 것이 아니다. 자연과학엔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성격이 내포되어 있다.

물리학은 에너지나 엔트로피등 물질적 구조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지만, 생명의 기저엔 물리학이 미치지 못하는 무언가가 있다. 생물학과 유전공학의 발전으로 생명의 비밀도 파헤치고 있고 생명의 창조도 더 이상 신의 영역이 될수 없다는 오만한 망상이 떠돌아 다니지만 이것은 단지 “인간의 미망(the human delusion: 환상, 착각)”일 뿐이다. 리차드 도킨스가 아인슈타인에 대해 처음부터 신을 고려하지 않는 과학자의 인생이었다고 했다는데 당연한 것은 과학자는 증명으로써만 물리적 존재를 설명하는 신분이기 때문이다.

무신론자들에게 있어 궁극적 실재는 우주일 뿐이며, 우주는 자연법칙에 의해 스스로 움직이며 영원히 존재하는 것으로 본다. 그러므로 하이티의 대 지진과 같은 천재지변을 ‘물질 세계의 운동법칙에 따른 자연의 무의미한 폭력이 빚어낸 참사’일 뿐으로만 해석할것을 요구하며 어떤 종류의 영적인 의미부여와 해석도 받아들이길 거부하는 것이다.

그러나 성경은 재난과 환난과 재림에 대한 말세의 징조에 대해 우리에게 분명히 제시하고 있으므로(마24:3-14; 막13; 눅21:7-19) 기독교인들은 성경에 근거해 시대의 징조를 분별할 영적인 책임이 있는 것이다.

기독교 신앙은 무엇인가? 하나님의 초자연적 신성과 역사를 인정하는데서 부터 출발하는 것이다. 하나님은 보이지 않는 성질의 존재로서 영원한 능력과 신성을 지닌 분이기 때문이다(롬1:20)..우리가 하나님의 역사를 체험치 못하고 철학적 사변의 대상으로만 간주할 때는 불완전한 이성의 한계로 인해 좌절할수 밖에 없다. 즉 완전주의에 기반한 무기력의 함정에 빠지기 쉬운데, 이는 이성만을 맹싱하는 미혹과 교만의 영의 지배를 받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일보]

댓글
주제와 무관한 댓글, 악플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