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공주 갑사 보살상서 보물급 복장유물 ‘와르르’ (불교신문 15/06/17)

페이지 정보

작성자여여심 작성일15-06-17 16:18 조회1,173회 댓글0건

본문

갑사 대웅전에 모셔진 소조삼세불상의 협시인 소조관음보살입상 배 부분에서 경전에 둥글게 말린 상태로 출토된 후령통.
공주 갑사 보살상 안에서 고려시대 불교 경전(經典), 발원문, 후령통 등 보물급 성보가 쏟아졌다. 특히 1387년에 필사한 백지묵서금강반야바라밀경, 1352년에 처음 찍어낸 상교정본 자비도량참법 권 8~10, 소자본 묘법연화경 권1~3 등 고려시대 주요 경전들이 대거 발견됐다. 조선시대 만들어진 보살상에서 당시 경전 대신 더 이른 시기의 전적류가 나온 사례는 극히 드물어 관심을 모으고 있다.

불교문화재연구소(소장 정안스님)는 오늘(6월17일) 갑사 대웅전에 모셔진 소조삼세불상의 협시(불상에서 본존인 여래를 가까이서 모시는 상)인 소조관음보살입상의 복장정밀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 중 발원문은 소조삼세불상과 협시보살상의 제작시기와 제작자를 알려주는 중요한 유물로 꼽힌다. 대웅전 불상들은 17세기 조성된 대표적인 대형 소조불상으로 알려져 있었을 뿐 정확한 조성연대나 배경 등은 베일에 가려져 있었다. 불상들은 1617년(만력 45년 정사)에 수화승 행사(幸思)스님 주도로 제작됐음이 밝혀졌다. 지금까지 이 스님은 순천 송광사 삼존불상(1614년, 현재 소실)과 해남 도장사 목조삼존불좌상(1648년) 조성 때 보조화승으로 참여한 이력만 알려졌을 뿐이다.

이번 조사로 행사스님이 수화승으로 독립해 활동했으며 갑사 소조삼세불상과 협시보살상이 스님의 대표작인 것으로 확인됐다. 또 보살상 목부분에서 묘법연화경 권1~3 1책이 둥글게 말린 상태로 나와 기존 복장조사에서 볼 수 없었던 납입상태와 위치 등을 파악했다고 불교문화재연구소 측은 밝혔다.

조사는 지난 10일 이뤄졌다. 갑사와 불교문화재연구소는 조사 결과에 치중하지 않고 보살상의 복장이 납입된 원형을 파악 할 수 있는 조사 과정 기록에 집중했다.

복장정밀조사는 공주시청과 (재)비산문화재 주관으로 실시되는 갑사 소조삼세불상과 협시보살상의 보수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그동안 불상에서 발견된 복장물에 대한 조사 자료가 없었기 때문에 자문위원회에서는 보수에 앞서 정밀복장조사의 필요성을 요구했다. 이에 동학사 목조삼세불상(1606년), 김룡사 목조삼세불상(1650년), 직지사 소조사천왕상(1665년) 등 복장정밀조사를 진행한 불교문화재연구소에서 조사를 담당하게 됐다.

 icon_p.gif 
복장물의 출토 상황과 위치를 정확히 기록하기 위해 진행한 감마레이 촬영. 보살상 배 부분(왼쪽)에 후령통이 보인다. 사진=공주시청.

불교문화재연구소는 갑사 소조삼세불상과 협시보살상의 안전을 위해 광학적 조사 결과와 육안 조사를 바탕으로 비교적 보존상태가 양호하고 복장이 온전한 소조관음보살입상의 복장을 조사하게 됐다. 복장조사에는 조계종 총무원 문화부와 갑사 관계자 및 공주시청 담당자의 입회하에 진행됐으며 연구소에서는 복장물의 발견 상황과 납입 위치를 정확히 기록하기 위해 2D촬영과 동영상 촬영을 동시에 실시하고 복장물의 납입 위치 도면을 작성했다.

최학 불교문화재연구소 불교미술연구실 팀장은 “지금까지 불상 복장은 발원문에 치중하다 보니 복장의 원형과 함께 발견된 복장물이 어떻게 수습되었는지 불분명했다”며 “이번 조사에서는 복장 개봉 전에 광학적 조사를 통해 원 상태를 기록으로 남기고 복장 개봉 후 각 복장물이 발견 순서와 납입 위치 및 상황 등을 상세히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어 최 팀장은 “이는 당장의 어떤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지만 앞으로 조선후기 불상에 복장의 납입 원리와 그 원형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갑사 주지 화봉스님은 이번 조사를 계기로 공주시청과 함께 불상을 국가지정문화재로 승격할 계획을 밝혔다.

화봉스님은 “이번 조사를 통해 갑사 소조삼세불상과 협시보살상이 1617년에 조성됐다는 사실이 드러났다”며 “발견된 복장물 중 고려시대 경전 또한 문화재적 가치를 조명할 예정이다”고 강조했다.

갑사는 앞으로 복장유물의 보존을 위해 조계종 불교중앙박물관에 기탁 보관할 계획이다.

 icon_p.gif 
백지묵서금강반야바라미경, 1387년.
  
갑사 소조관음보살입상.
 icon_p.gif 
수 백명의 시주자가 기록된 발원문.

댓글
주제와 무관한 댓글, 악플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