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s | 제10탄 ‘11대 핵심과제’를 말한다 중에서 화쟁위원회 구성'(불교신문 10/03/20)
페이지 정보
작성자관리자 작성일10-03-22 11:15 조회2,878회 댓글0건페이지주소
관련링크
본문
혜경스님 / 총무원 사회부장
“불교, 사회갈등 조정…공동선 실현 주도”
조계종 총무원장 자승스님은 올 1월 임기 4년간 종단 발전계획을 발표하면서 사회적 소통과 공동선 실행을 위한 ‘화쟁위원회’를 결성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사회문제에 대해 종단이 적극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밝힌 것은 1994년 개혁종단으로 일컫는 월주스님의 ‘깨달음의 사회화’ 이후 처음이다. 화쟁위원회는 복지 분야에 한정됐던 ‘깨달음의 사회화’보다 영역이 훨씬 넓고 적극적이다.
‘사회문제연구소’도 설립
기존 단체와 협력.보완
각계 전문가 네트워크화
7월 발족…내년부터 활동
보광스님 / 동국대 교수.국가인권위원
스님들, 국가기구에 관심
정책입안 단계부터 참여
사건 발생 전 혜안 갖고
해결책 제시하는 것 중요
정목스님 / 양산 정토원 원장
갈등해소의 필수 덕목은
‘진실한 수행자 모습’
종교색 드러내지 않고
정밀한 해결책 제시해야
화쟁(和諍)이란 원효스님의 대표적인 사상으로 한국불교가 가장 중요시하는 불교사상이기도 하다. 모든 대립되는 이론 혹은 갈등이 모두 ‘중도’의 원리 안에서 다양한 현실의 차별세계를 인정하여 살리면서 또한 그 다양한 현실이 동일한 진리 안에서 회통한다는 이론이다. 박재현 서울대 규장각 해제위원은 화쟁에 대해 “다툼과 대립의 화해라는 의미보다 모아서 서로 통하는 소통에 가깝다”고 해석했다. 조계종 총무원이 사회의 제반 문제를 해결하는 기구 이름을 화쟁위원회로 선정한 것도 바로 소통을 통해 막힌 곳을 뚫겠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사회갈등이란 곧 고통(苦痛)이다. 고통의 원인을 찾아 분석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은 바로 불교의 목적이기도 하다. 소통이 실현돼 고통이 소멸되는 사회가 바로 불국정토다. 따라서 화쟁위원회는 불국정토를 구현하기 위한 종단차원의 구체적인 실무기구인 셈이다. 이에 대해 총무원 사회부장 혜경스님은 “화쟁위원회는 갈등을 조정해서 공동선을 실현하고 사회적 소통을 이루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며 “이러한 사회가 곧 불국정토”라고 말했다. 혜경스님은 “종교의 목적은 불국정토 구현에 두고 있다. 중생계에는 늘 갈등이 있어 이를 푸는데 종교가 매진해야한다”고 덧붙였다.
단지 사회적 갈등 해소와 소통에만 두면 일반 시민ㆍ사회단체나 정치단체와 다를 바 없다. 불교는 불교 나름의 해법을 제시해야 한다. 혜경스님은 “중도(中道) 정견(正見)에 입각한 연기의 법칙이 우리의 원칙이자 사상”이라고 말했다. 즉 불교의 연기관으로 사회문제를 바라보고 이를 통해 해결책을 제시한다는 것이다. 사회문제를 바라보고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한 이론 작업을 담당할 연구소 설립도 함께 진행될 예정이다. 혜경스님은 “우선 이론화 작업이 중요하다. 공통된 이론이 없다. 사회문제연구소를 설립해 이론을 만들고 그 토대 속에 화쟁위원회가 실천을 담당해야 한다”고 말했다.
화쟁위원회는 앞으로 사회 제반 현상을 다룬다. 범위는 인권 환경 여성 통일 노동 재해구조 국제 등 광범위하다. 이중 환경 통일 국제 등 이미 종단 내 기구가 존재하는 분야는 제외한다. 기존에 활동 중인 불교사회단체와는 협력과 보완 관계다. 혜경스님은 “이미 여러 단체가 활동 중이다. 우리가 도울 부분이 있으면 돕고 때로는 서로 역할을 분담할 수 있다”고 말했다.
화쟁위원회 조직구성은 자문위원 상임위원 실무위원으로 구성한다. 자문위원은 종단 내외적으로 신망받고 있는 남북 환경 종교평화 인권 사회연대 등 사회 여러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는 스님 및 사회단체 대표 등으로 구성한다. 스님으로는 호계원장 법등스님, 불국사 주지 성타스님, 동국대 교수 보광스님, 인드라망생명공동체 상임대표 도법스님, 화계사 주지 수경스님, 봉은사 주지 명진스님, 불교인권위원회 위원장 진관스님이 거론되고 있다. 사회부장 스님은 당연직으로 참여한다. 재가자 그룹으로는 김동건 전 서울고등법원장(참여불교재가연대 상임대표), 김종빈 전 검찰총장, 박세일 한반도선진화재단 이사장, 박윤흔 전 환경처 장관(중앙신도회 고문)을 위촉할 예정이다. 모두 불교와 사회에서 신망이 높고 각 분야에서 일가견을 이룬 전문가이며 우리사회 어른들이다.
상임위원회는 현재 종령기구로 구성돼 있는 위원회를 제외한 나머지 사회 활동 영역으로 위원회를 구성해 10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실제로 현장에서 일할 실무전문가가 15명 내외로 결성된다. 사회 문제가 발생하면 실무위원회가 현장을 방문하거나 여론을 청취해 의견을 듣고 상임위원회에 보고한다. 상임위는 회의를 통해 문제의 원인과 해결책을 마련해 자문위원의 의견을 받아 해결책을 모색하는 구조로 진행된다.
혜경스님은 “화쟁위원회는 각 분야 흩어져 있는 전문가 그룹을 서로 엮어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이들이 실제로 문제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낼 수 있도록 기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고 말했다. 화쟁위원회는 4월 중에 자문위원 상임위원 등 인적 구성을 완료하고 7월 쯤 발족식을 가질 예정이다. 혜경스님은 “연구와 준비를 거쳐 실제 활동은 내년부터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스님들은 늦었지만 지금부터라도 불교가 사회적 고에 함께 동참해 중생구제를 실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보광스님(동국대 교수, 국가인권위원)은 “서산스님이 임진왜란이 발발하기 전 10만 양병설을 주창했듯이 사건이 발생하기 전에 불교적 혜안을 갖고 미리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스님은 “한발 빠른 대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각종 국가기구에 스님들이 참여해 정책 입안 단계에서부터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양산 정토원 원장 정목스님은 종교색을 내세우지 않고 구체적이고 정밀한 해결책 제시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스님은 “화쟁사상의 근거는 일체경계가 일심(一心)이라는 데서 비롯된다. 전라도든 경상도든 모두 일체다. 보리심(菩利心)에 종교색이 어디 있나. 화쟁사상은 불교색이 없다”고 말했다. 스님은 또 불교사상에 기반한 구체적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일심사상을 고답적으로 되뇌이는 것은 아무런 도움이 안 된다. 헤아릴 수없이 수많은 조건에 의해 드러나는 개개(個個)의 업(業), 만업(滿業)에 따른 현실 작용을 고려해야 한다. 문제의 해결은 여기서 시작한다. 즉 원효사상은 긍정에 이어 부정 그리고 대긍정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거쳐 해결책을 마련한다. 서로 그렇게 주장하고 싸울 수밖에 없는 상황을 인정해야 우선 이야기가 된다. 심지어 김정일마저 인정해야 한다. 그 다음 당신이 그렇게 하는 것은 실체가 없음과 갈등으로는 사회적 행복이 실현될 수 없음을 설득해야한다. 이런 부정을 거쳐 서로가 실체가 없음을 알고 화합하는 대긍정에 이른다. 이처럼 화쟁위원회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원효스님의 사상과 현실 작용 철학을 면밀히 공부해서 현실에 구체적으로 적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스님은 “갈등을 해소하는데 가장 필요한 가치와 덕목은 진실한 수행자의 모습”이라고 강조했다. 혜경스님도 “먼저 우리부터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박부영 기자
댓글주제와 무관한 댓글, 악플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